• 최종편집 2025-03-07(일)

“국제정세 불안정 ‘식량안보’ 더 중요해졌다”…누가 그 역할을?

농정원, 농업·농촌 가치 트렌드 분석 발표…환경보전‧농촌공동체 유지도 “주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5.01.04 11:3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농정원11.jpg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 임직원들이 1월 2일 1층 대강당에서 ‘2025년 시무식’ 행사를 갖고 표창장 전달과 함께 더 큰 도약을 다짐하는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농정원>

 

[세계미래신문=장화평 기자] 최근 러·(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트럼프 재집권 등 국제 정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식량안보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우리 농업·농촌의 가치 역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 이하 농정원)농업·농촌 가치를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키워드를 비교 분석한 ‘FATI(Farm Trend & Issue)’ 보고서 23호를 12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최근 4년간(2021~2024) 온라인에 게시된 1036926건 이상의 데이터를 농업·농촌의 가치를 식량안보’, ‘환경보전’, ‘농촌 공동체 유지3가지 유형으로 정의한 후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농촌 가치에 대한 최근 4년간의 정보량 추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외 식량안보이슈에 대한 정부 대응 및 농업·농촌 가치확산 캠페인 확산 내용 등이 주를 이룬 것으로 파악됐다. 2021년은 코로나19 이후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이 본격화되며 식량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된 해로, 정부는 농업·농촌 가치확산 캠페인을 전개하며 농업·농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유도해 나갔다.

 

2022년에는 러·우 전쟁 발발로 글로벌 식량 위기 보도가 다수 확산됐으며, 정부는 밀·콩 중심의 전략작물직불제 등 구체적인 식량 자급률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 2023년 정부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 계획을 통해 굳건한 식량안보 확보1순위 추진전략으로 제시하며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20244월에는 정부 차원의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방침이 발표되며 일할 공간으로서의 농촌이 강조됐다. 또한 각양갓생캠페인이 진행되며 농업·농촌의 직업적 가치가 주목받기도 했다. 온라인 반응 역시 식량안보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긍정 반응이 매년 높은 비중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SNS에서는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정보성 게시글과 농업·농촌 가치확산 캠페인 영상이 주목받았다.

 

2021년에는 우리나라의 해외 공적원조 우수 사례가 조명받으며 긍정 여론이 다수 나타났다. 이후 매년 식량안보와 관련된 정부 대책 등이 보도되며 식량 생산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긍정 의견이 다수 형성됐다. 특히 올해는 식량생산 중요 인식41%에 달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

 

블로그 상에서는 관·공의 공식 채널을 중심으로 식량안보 대응 정책을 홍보하는 글들이, 카페 및 커뮤니티 채널에서는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소비자 물가와 연동해 설명하는 글들이 나타났다. 한편 유튜브에서는 농업·농촌 가치확산 캠페인 영상 및 숏츠 게시물들이 다수 게시되며 주목받았다.

 

농업·농촌 가치 유형별 언급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각종 정책 및 제도, 사업에 대한 언급이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식량안보부문은 전쟁과 같은 대외적 이슈와 쌀 생산·수급 등 대내적 이슈에 대한 정부 대응이 주목받으며 생산’, ‘정부’, ‘가격등의 키워드가 상위에 포진하고 있었다.

 

환경보전부문은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준수한 농가를 대상으로 직불금을 지급하는 공익직불제관련 키워드가 대부분이었다. ‘지원’, ‘농가’, ‘교육’, ‘지급과 같은 관련 키워드가 제도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농촌 공동체 유지부문은 정부와 지자체 주도 사업 관련 키워드들이 다수 나타났다. 특히 마을단위 사업과 문화테마 사업, ‘청년 일자리사업 등 참여 사업 중심의 키워드들이 확인됐다. ‘미래 성장부문은 농업·농촌 미래 성장의 핵심인 스마트팜관련 키워드가 중심이 돼 이와 연관된 민··공 차원의 활동들이 다수 언급된 것으로 분석됐다.

 

농정원 이종순 원장은 우리 농촌은 이제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니라 누구나 살고 싶고, 일하고 싶고, 쉬고 싶은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과거와 달리 농업·농촌의 가치가 미래지향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만큼 가치확산캠페인을 중심으로 많은 국민들이 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정원은 농식품 분야의 인재를 키워내는 교육, 농촌 가치 및 우리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하는 홍보, 스마트팜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 현장에 반영하는 정보화 사업, 귀농·귀촌과 국제 통상·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준정부기관이다. 이번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정원이 발행하는 농업·농촌 이슈 트렌드 보고서 ‘FATI’ 23호에 담았으며, 농정원 홈페이지 자료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추신: ‘더 좋은 세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아름다운 동행을 기대합니다.

먼저 해야 할 용기 있는 선택은 <세계미래신문> 구독 후원입니다 : 국민은행 206001-04-162417 장영권(세계미래신문)

기획 보도, 인터뷰, 홍보 광고, 사업제휴, 협찬, 국민기자 등도 뜨겁게 환영합니다. (문의:ykgwanak@naver.com)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

* 후원 및 회비 입금계좌  :   국민은행   계좌번호 206001-04-162417   장영권(세계미래신문)

전체댓글 0

  • 2834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제정세 불안정 ‘식량안보’ 더 중요해졌다”…누가 그 역할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